(R) 오송 참사 2년, 국정조사 논의 급물살…책임자 제외 논란 재점화 > 뉴스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뉴스

충북뉴스
HOME충북뉴스

뉴스

(R) 오송 참사 2년, 국정조사 논의 급물살…책임자 제외 논란 재점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성현 작성일2025.08.03 댓글0건

본문

[앵커]

 

오송 지하차도 참사를 둘러싼 책임 규명이 국정조사로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국회의 자료 요구가 잇따르면서 충북도와 청주시가 바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조성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오송 참사 국정조사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이 제출한 오송참사 국정조사 요구서가 우원식 국회의장의 언급 이후 다시 탄력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는 4일 국회 본회의에서 오송참사 국정조사 계획서가 방송 3법과 노란봉투법 등 쟁점 법안과 함께 상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정조사를 추진하는 의원들은 앞선 검찰 수사가 하위직에게만 그치고 현장 최고 관리 책임자인 김영환 충북지사가 빠진 점을 문제 삼고 있습니다.

 

다만 본회의 통과까지는 변수가 적지 않습니다.

 

국민의힘이 방송법 처리에 반대해 무제한 토론을 예고한 데다 소관 상임위원회인 행정안전위원회 내부에서도 일정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어섭니다.

 

이런 정치권 논의와는 별개로, 국정조사를 준비 중인 국회의원들은 자료 요구에 한창입니다.

 

지난 1일까지 충북도에는 3명의 의원이 51개 항목, 청주시는 1명의 의원이 13개 항목의 자료 제출을 요청했습니다.

 

요청 항목은 당시 근무 기록과 보고 일지, 대응 과정, 감사 결과와 사후 조치 여부, 시설 점검과 보수 이력 등 재난 대응 전반입니다.

 

여야의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김 지사는 "국정조사에 응하겠지만 새로 밝혀질 게 있을지는 회의적"이라고 말했습니다.

 

2023년 7월 15일, 폭우로 미호강 제방이 무너지면서 14명이 숨진 오송 지하차도 참사.

 

진상 규명과 책임 소재를 둘러싼 논란은 국정조사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BBS 뉴스 조성현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소 : (우)28804 충북 청주시 서원구 1순환로 1130-27 3층전화 : 043-294-5114~7 팩스 : 043-294-5119

Copyright (C) 2022 www.cjbbs.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