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충북 공무원 '방역 일탈' 잇따라…엄중 문책 뒤따라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현철 작성일2021.02.15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충북에서 공직자들의 방역수칙 위반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5인 이상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어기고 교회 모임에 참석해 코로나19에 확진됐는가 하면 술판을 벌인 일도 있었는데요.
방역에 앞장서야할 공무원이 일반 시민에게만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고, 정작 본인 스스로는 안일한 대처로 비난을 사고 있습니다.
연현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코로나19와 관련해 충북에서 공무원 첫 징계 사례가 나왔습니다.
교회 관련 모임에 참석한 뒤 코로나19에 확진된 충북 소방공무원 2명에 대한 징계가 내려진 겁니다.
충북도소방본부는 최근 징계위원회를 열고 옥천소방서 소속 A씨에게 감봉 1개월 처분을, 청주동부소방서 소속 B씨에게 견책 처분을 각각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도소방본부는 또 A씨를 음성소방서로, B씨를 영동소방서로 각각 전보 조처했습니다.
A씨는 대전지역의 한 교회 목사의 배우자이며, B씨는 해당 교회의 교인으로 이들은 지난해 12월 두차례에 걸쳐 교회 모임에 참석해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 감염됐습니다.
도내에서 공무원이 방역수칙을 위반한 사례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이달 초 충북경찰청 제2기동대 소속 경찰관 6명이 술판을 벌이다 이웃의 소음 신고로 방역지침을 어긴 사실이 들통났습니다.
당시 이들은 동료의 자택에 모여 승진 축하 기념 회식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 이들에 대한 감찰과 진상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일축했습니다.
충주시 역시 최근 코로나19에 확진돼 입원 치료 중인 보건소 과장에 대한 문책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역 내 시민사회단체도 조길형 충주시장에 공식 사과를 요구하고 나서는 등 지자체에 대한 거센 항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해당 과장이 목욕탕을 자주 방문했다는 점이 방역수칙 위반 행위는 아니지만, 다중이용시설 방문 자제 분위기 속 보건소 간부공무원의 태도로 부적절하다는 겁니다.
이같은 방역지침 위반 사례는 계속 잇따르고 있지만 그 주체가 공무원이라는 점에서 비난의 목소리는 더욱 높습니다.
도내에서 공무원들의 방역 일탈 사례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에 대한 엄중한 문책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충북에서 공직자들의 방역수칙 위반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5인 이상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어기고 교회 모임에 참석해 코로나19에 확진됐는가 하면 술판을 벌인 일도 있었는데요.
방역에 앞장서야할 공무원이 일반 시민에게만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고, 정작 본인 스스로는 안일한 대처로 비난을 사고 있습니다.
연현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코로나19와 관련해 충북에서 공무원 첫 징계 사례가 나왔습니다.
교회 관련 모임에 참석한 뒤 코로나19에 확진된 충북 소방공무원 2명에 대한 징계가 내려진 겁니다.
충북도소방본부는 최근 징계위원회를 열고 옥천소방서 소속 A씨에게 감봉 1개월 처분을, 청주동부소방서 소속 B씨에게 견책 처분을 각각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도소방본부는 또 A씨를 음성소방서로, B씨를 영동소방서로 각각 전보 조처했습니다.
A씨는 대전지역의 한 교회 목사의 배우자이며, B씨는 해당 교회의 교인으로 이들은 지난해 12월 두차례에 걸쳐 교회 모임에 참석해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 감염됐습니다.
도내에서 공무원이 방역수칙을 위반한 사례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이달 초 충북경찰청 제2기동대 소속 경찰관 6명이 술판을 벌이다 이웃의 소음 신고로 방역지침을 어긴 사실이 들통났습니다.
당시 이들은 동료의 자택에 모여 승진 축하 기념 회식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 이들에 대한 감찰과 진상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일축했습니다.
충주시 역시 최근 코로나19에 확진돼 입원 치료 중인 보건소 과장에 대한 문책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역 내 시민사회단체도 조길형 충주시장에 공식 사과를 요구하고 나서는 등 지자체에 대한 거센 항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해당 과장이 목욕탕을 자주 방문했다는 점이 방역수칙 위반 행위는 아니지만, 다중이용시설 방문 자제 분위기 속 보건소 간부공무원의 태도로 부적절하다는 겁니다.
이같은 방역지침 위반 사례는 계속 잇따르고 있지만 그 주체가 공무원이라는 점에서 비난의 목소리는 더욱 높습니다.
도내에서 공무원들의 방역 일탈 사례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에 대한 엄중한 문책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