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제10호 태풍 '하이선', 충북 간접영향에도 강한 비 바람 '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현철 작성일2020.09.06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제10호 태풍 '하이선'이 이동방향을 틀어 동쪽으로 치우치면서, 다행히 충북지역을 빗겨갈 것으로 예보됐습니다.
하지만 매우 강한 세력으로 동해를 지나는 만큼, 간접영향권인 충북지역에도 거센 비바람이 몰아칠 것으로 예상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연현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제10호 태풍 '하이선'이 우리나라에 본격 상륙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보된 가운데 간접영향권에도 강한 비바람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청주기상지청은 충북이 내일(7일) 오전 10시부터 태풍 하이선의 최대영향권에 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 기간 충북 전역에는 50에서 100mm의 비와 초속 10에서 20m의 강풍이 몰아칠 것으로 예고됐습니다.
태풍 하이선의 최근접 예상 시점별로는 영동이 내일(7일) 낮 12시, 청주가 오후 1시, 충주 오후 2시입니다.
특히 충주의 경우 태풍 중심과의 거리가 약 170km로 가장 가까워 도내 시군 가운데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하이선이 앞서 지나간 마이삭보다 더 센 태풍으로 알려진만큼, 피해 예방을 위한 철저한 사전 대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에 발맞춰 옥천군을 비롯한 도내 지자체들도 '하이선'을 대비하기 위한 비상체계에 속속 돌입했습니다.
충북도와 11개 시군은 비상 근무 태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강풍의 영향을 받는 건설 현장에 작업 중지까지 요청한 상태입니다.
올 여름 극심한 장마와 잇단 태풍으로 피해를 입은 일부 도민들은 하이선의 이동경로를 확인하고 다소 걱정을 덜었다는 반응입니다.
그럼에도 긴장을 늦추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게 기상청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지난 달 초 발생한 집중호우와 잇단 태풍으로 큰 피해를 입은 충북지역의 경우, 아직도 곳곳에서 복구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아 이번 태풍의 작은 영향에도 추가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만일 하이선이 예상보다 더욱 몸집을 키워 접근한다면 피해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보여집니다.
청주기상청 관계자는 "8월 집중호우와 제9호 태풍 마이삭에 의한 피해복구가 완료되지 않은 지역에서 피해가 예상된다"며 "시설물 관리와 안전사고, 저지대 침수 등 피해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제10호 태풍 '하이선'이 이동방향을 틀어 동쪽으로 치우치면서, 다행히 충북지역을 빗겨갈 것으로 예보됐습니다.
하지만 매우 강한 세력으로 동해를 지나는 만큼, 간접영향권인 충북지역에도 거센 비바람이 몰아칠 것으로 예상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연현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제10호 태풍 '하이선'이 우리나라에 본격 상륙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보된 가운데 간접영향권에도 강한 비바람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청주기상지청은 충북이 내일(7일) 오전 10시부터 태풍 하이선의 최대영향권에 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 기간 충북 전역에는 50에서 100mm의 비와 초속 10에서 20m의 강풍이 몰아칠 것으로 예고됐습니다.
태풍 하이선의 최근접 예상 시점별로는 영동이 내일(7일) 낮 12시, 청주가 오후 1시, 충주 오후 2시입니다.
특히 충주의 경우 태풍 중심과의 거리가 약 170km로 가장 가까워 도내 시군 가운데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하이선이 앞서 지나간 마이삭보다 더 센 태풍으로 알려진만큼, 피해 예방을 위한 철저한 사전 대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에 발맞춰 옥천군을 비롯한 도내 지자체들도 '하이선'을 대비하기 위한 비상체계에 속속 돌입했습니다.
충북도와 11개 시군은 비상 근무 태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강풍의 영향을 받는 건설 현장에 작업 중지까지 요청한 상태입니다.
올 여름 극심한 장마와 잇단 태풍으로 피해를 입은 일부 도민들은 하이선의 이동경로를 확인하고 다소 걱정을 덜었다는 반응입니다.
그럼에도 긴장을 늦추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게 기상청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지난 달 초 발생한 집중호우와 잇단 태풍으로 큰 피해를 입은 충북지역의 경우, 아직도 곳곳에서 복구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아 이번 태풍의 작은 영향에도 추가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만일 하이선이 예상보다 더욱 몸집을 키워 접근한다면 피해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보여집니다.
청주기상청 관계자는 "8월 집중호우와 제9호 태풍 마이삭에 의한 피해복구가 완료되지 않은 지역에서 피해가 예상된다"며 "시설물 관리와 안전사고, 저지대 침수 등 피해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