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난리' 충청지역 복구작업 한창…'일부지역 소나기 예보' 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현철 작성일2020.07.31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충청권을 강타한 폭우는 소강상태를 보인 가운데 지역 곳곳에서는 복구작업이 한창입니다.
하지만 오늘(30일) 밤사이 충청 일부 지역에 최대 60㎜ 가량의 소나기가 내릴 것으로 예보돼, 추가 피해 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청주BBS 연현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로와 주택, 차량이 침수되는 등 한바탕 물난리를 겪은 충청지역.
특히 어제(30일) 시간당 100㎜ 이상의 기록적인 폭우가 내린 대전은 '아비규환' 그 자체였습니다.
대전에서는 장맛비로 2명이 숨지는 등 4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현재까지 집계된 침수 등의 피해 또한 700건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오늘(31일) 소강상태에 접어든 비로 충청지역 곳곳에서는 대대적인 복구작업이 시작됐습니다.
물바다가 됐던 대전시 서구 정림동 코스모스아파트에서는 어제(30일) 오후 배수작업을 마친 데 이어, 오늘(31일) 오전부터 토사 제거와 시설물 보수 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또 침수 차량들에 대한 견인조치와 함께 자원봉사자들도 나서 주민들의 집안 내부 청소에 힘을 보탰습니다.
오늘(31일) 한때 약한 비가 내리기도 했지만 복구 작업은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충남지역에서도 침수된 주택과 상가, 농경지 등에 대한 긴급 복구작업이 속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계룡과 금산 등 6개 시·군에서 유실돼 응급 복구된 도로는 모두 23곳입니다.
시간당 최고 66㎜의 비가 쏟아진 충북 옥천군 군북면 일대에서도 복구작업이 한창입니다.
100여 건의 폭우 피해가 집중된 옥천군 군북면에만 자원봉사자와 군 장병, 면사무소 직원 등 100여 명의 인력이 동원됐습니다.
이처럼 지역 곳곳에서는 피해 복구를 위한 움직임이 분주하지만, 추가 피해에 대한 주민들의 불안은 쉽게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충청지역에 비는 대부분 그쳤지만, 오늘(31일) 밤까지 내륙지역을 중심으로 최대 60㎜의 강한 소나기가 예보됐기 때문입니다.
짧은 시간 내에 많은 비가 지역 내에 집중되면서, 약해진 지반으로 인한 산사태나 축대 붕괴 등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기 위한 철저한 대비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충청권을 강타한 폭우는 소강상태를 보인 가운데 지역 곳곳에서는 복구작업이 한창입니다.
하지만 오늘(30일) 밤사이 충청 일부 지역에 최대 60㎜ 가량의 소나기가 내릴 것으로 예보돼, 추가 피해 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청주BBS 연현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로와 주택, 차량이 침수되는 등 한바탕 물난리를 겪은 충청지역.
특히 어제(30일) 시간당 100㎜ 이상의 기록적인 폭우가 내린 대전은 '아비규환' 그 자체였습니다.
대전에서는 장맛비로 2명이 숨지는 등 4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현재까지 집계된 침수 등의 피해 또한 700건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오늘(31일) 소강상태에 접어든 비로 충청지역 곳곳에서는 대대적인 복구작업이 시작됐습니다.
물바다가 됐던 대전시 서구 정림동 코스모스아파트에서는 어제(30일) 오후 배수작업을 마친 데 이어, 오늘(31일) 오전부터 토사 제거와 시설물 보수 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또 침수 차량들에 대한 견인조치와 함께 자원봉사자들도 나서 주민들의 집안 내부 청소에 힘을 보탰습니다.
오늘(31일) 한때 약한 비가 내리기도 했지만 복구 작업은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충남지역에서도 침수된 주택과 상가, 농경지 등에 대한 긴급 복구작업이 속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계룡과 금산 등 6개 시·군에서 유실돼 응급 복구된 도로는 모두 23곳입니다.
시간당 최고 66㎜의 비가 쏟아진 충북 옥천군 군북면 일대에서도 복구작업이 한창입니다.
100여 건의 폭우 피해가 집중된 옥천군 군북면에만 자원봉사자와 군 장병, 면사무소 직원 등 100여 명의 인력이 동원됐습니다.
이처럼 지역 곳곳에서는 피해 복구를 위한 움직임이 분주하지만, 추가 피해에 대한 주민들의 불안은 쉽게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충청지역에 비는 대부분 그쳤지만, 오늘(31일) 밤까지 내륙지역을 중심으로 최대 60㎜의 강한 소나기가 예보됐기 때문입니다.
짧은 시간 내에 많은 비가 지역 내에 집중되면서, 약해진 지반으로 인한 산사태나 축대 붕괴 등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기 위한 철저한 대비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