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오송재단, “갑질 의혹 징계 결과 10월에나 공개할 것”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정하 작성일2020.07.15 댓글0건본문
- ‘솜방망이 처분’ 비난 의식(?)…궁색한 근거로 시간 벌기 비난
[앵커멘트]
올해 초 직장 내 갑질과 괴롭힘으로 한 여직원이
극단적 선택을 한 의혹을 받고 있는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가해자로 지목된 이들의 징계결과를
오는 10월 이후에나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오송재단은 ‘정부공개시스템’ 규정을 근거로
징계 결과를 10월 이후에나 공개하겠다는 것인데,
궁색한 근거로 시간을 끌어보겠다며 꼼수를 부린다는
비난을 피하긴 어려워보입니다.
보도에 김정하 기잡니다.
[리포트]
청주BBS 취재결과
지난달 26일 열렸던 오송재단 자체 인사위원회에서
직장 내 갑질 의혹의 가해자로 지목된
A팀장과 과거 해당 팀의 팀장으로 근무했던 B부장은
각각 견책과 정직 3개월의 징계를 받았습니다.
청주BBS는 수 차례에 걸쳐 오송재단 측에
이같은 인사위원회 결과에 대한 확인을 요청했지만
재단은 이를 거절했습니다.
그러다 최근 오송재단은 청주BBS의
지속적인 인사위원회 결과 공개요구에
“오는 10월에 결과를 공개하겠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인서트
오송재단 관계자입니다.
“그러니까 분기마다 저희가 '알리오' 시스템에 (인사위원회 결과를) 공개하도록 되어 있어요. 7월, 8월, 9월 결과는 10월에 공개하도록 되어 있다고요.”
오송재단이 10월에 결과를 내놓겠다고 밝힌 이유는
정부 공개시스템인 ‘알리오’의 매뉴얼에 따라
전국 각 공공기관이 분기별로
인사조치 결과를 공개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하지만 앞서 청주BBS가 보도했듯
‘알리오’를 운영하고 있는 기획재정부는
“재단에서 주장하고 있는 기재부의 매뉴얼은
인터넷에 업로드하기 위한
하나의 시스템적 절차에 불과할 뿐
비공개 사유가 될 수 없고,
인사위원회 결과 공개는 재단의 재량“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같은 맹점을 재차 지적하자
오송재단은 “어쩔수 없다”는 식의 대답만 되풀이할 뿐
인사위원회 결과 비공개에 대한
뚜렷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재단 안팎에선
“재단이 인사위원회 결과를 공개하겠다는 10월은
징계 절차가 모두 끝나는 시점“이라며
“재단의 이같은 결정은
앞으로 문제가 더 커지더라도
‘중복처벌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내세워
이번 논란을 유야무야 넘어가려는
눈에 보이는 꼼수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오송재단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선
그저 말 뿐인 재단 쇄신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주는 자정 노력이 필요해보입니다.
BBS뉴스 김정합니다.
[앵커멘트]
올해 초 직장 내 갑질과 괴롭힘으로 한 여직원이
극단적 선택을 한 의혹을 받고 있는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가해자로 지목된 이들의 징계결과를
오는 10월 이후에나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오송재단은 ‘정부공개시스템’ 규정을 근거로
징계 결과를 10월 이후에나 공개하겠다는 것인데,
궁색한 근거로 시간을 끌어보겠다며 꼼수를 부린다는
비난을 피하긴 어려워보입니다.
보도에 김정하 기잡니다.
[리포트]
청주BBS 취재결과
지난달 26일 열렸던 오송재단 자체 인사위원회에서
직장 내 갑질 의혹의 가해자로 지목된
A팀장과 과거 해당 팀의 팀장으로 근무했던 B부장은
각각 견책과 정직 3개월의 징계를 받았습니다.
청주BBS는 수 차례에 걸쳐 오송재단 측에
이같은 인사위원회 결과에 대한 확인을 요청했지만
재단은 이를 거절했습니다.
그러다 최근 오송재단은 청주BBS의
지속적인 인사위원회 결과 공개요구에
“오는 10월에 결과를 공개하겠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인서트
오송재단 관계자입니다.
“그러니까 분기마다 저희가 '알리오' 시스템에 (인사위원회 결과를) 공개하도록 되어 있어요. 7월, 8월, 9월 결과는 10월에 공개하도록 되어 있다고요.”
오송재단이 10월에 결과를 내놓겠다고 밝힌 이유는
정부 공개시스템인 ‘알리오’의 매뉴얼에 따라
전국 각 공공기관이 분기별로
인사조치 결과를 공개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하지만 앞서 청주BBS가 보도했듯
‘알리오’를 운영하고 있는 기획재정부는
“재단에서 주장하고 있는 기재부의 매뉴얼은
인터넷에 업로드하기 위한
하나의 시스템적 절차에 불과할 뿐
비공개 사유가 될 수 없고,
인사위원회 결과 공개는 재단의 재량“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같은 맹점을 재차 지적하자
오송재단은 “어쩔수 없다”는 식의 대답만 되풀이할 뿐
인사위원회 결과 비공개에 대한
뚜렷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재단 안팎에선
“재단이 인사위원회 결과를 공개하겠다는 10월은
징계 절차가 모두 끝나는 시점“이라며
“재단의 이같은 결정은
앞으로 문제가 더 커지더라도
‘중복처벌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내세워
이번 논란을 유야무야 넘어가려는
눈에 보이는 꼼수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오송재단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선
그저 말 뿐인 재단 쇄신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주는 자정 노력이 필요해보입니다.
BBS뉴스 김정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