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갑질 의혹’투명한 조사 약속한 오송재단, 처분 결과‘쉬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정하 작성일2020.07.06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직장 내 갑질로 한 여직원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는 의혹이 일었던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문제가 커지자
지난 2월 모든 의혹에 대해 투명하게 조사해
관련자를 엄중하고 강력하게 처벌하겠다고
약속했었는데요.
하지만 관련자에 대한 인사위원회를
5달이 넘도록 미뤄와 처벌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는데요.
청주BBS 취재결과 오송재단은
이달 초 인사위원회를 열고도
처벌 수위 등에 대한 내용을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보도에 김정하 기잡니다.
[리포트]
오송재단에서 근무하고 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직장 내 갑질 의혹의 당사자로 지목된
A팀장과 과거 이 팀의 팀장을 맡았던 B부장은
지난 1일 재단 인사위원회에 회부됐습니다.
하지만 이들에게 내려진 처분은
솜방망이 처분.
B부장은 감봉 3개월,
A팀장은 견책에 그친 겁니다.
일부 재단 직원들은 ‘이럴줄 알았다’는
반응입니다.
징계를 받은 관련자들과
엮여 있는 고위 간부들이 많다보니
해임이나 정직 같은 중징계를 내리긴
어려웠을 거라는 겁니다.
더 큰 문제는 이들에 대한 징계 수위와 이유를
재단이 공개하지 않고 있다는 점.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제26조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감사결과는 원칙적으로 공개하게 돼있지만,
아직까진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인 ‘알리오’나
자체 홈페이지 등 어느곳에서도 인사위원회 결과는
찾아 볼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자신들의 솜방망이 처분에 대한 비판여론을 의식해
공개를 꺼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드는
대목입니다.
너무 가벼운 처분에
또다시 비판여론이 일 것을 우려해
쉬쉬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겁니다.
이에따라 청주BBS 취재진은
재단 측에 인사위원회 결과 공개를 요청했지만
돌아온 것은 타 부서로의 책임 떠밀기와
“자세한 사항을 모르겠다”는 답변 뿐이었습니다.
▶ 인서트
오송재단 감사팀 관계자입니다.
“이 건과 관련한 대응에 대해선 앞으로 재단 대외협력팀으로 일원화하기로 했습니다.”
▶ 인서트
이어서 오송재단 대외협력팀 관계자입니다.
“인사위원회와 관련한 어떠한 정보도 넘겨받은 바 없습니다.”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바이오 의료산업의 시작과 끝을 함께 하겠다는 오송재단.
이번 인사위원회의 공식 결과와 징계 이유에 대한
투명한 공개가 필요해보입니다.
BBS뉴스 김정합니다.
직장 내 갑질로 한 여직원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는 의혹이 일었던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문제가 커지자
지난 2월 모든 의혹에 대해 투명하게 조사해
관련자를 엄중하고 강력하게 처벌하겠다고
약속했었는데요.
하지만 관련자에 대한 인사위원회를
5달이 넘도록 미뤄와 처벌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는데요.
청주BBS 취재결과 오송재단은
이달 초 인사위원회를 열고도
처벌 수위 등에 대한 내용을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보도에 김정하 기잡니다.
[리포트]
오송재단에서 근무하고 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직장 내 갑질 의혹의 당사자로 지목된
A팀장과 과거 이 팀의 팀장을 맡았던 B부장은
지난 1일 재단 인사위원회에 회부됐습니다.
하지만 이들에게 내려진 처분은
솜방망이 처분.
B부장은 감봉 3개월,
A팀장은 견책에 그친 겁니다.
일부 재단 직원들은 ‘이럴줄 알았다’는
반응입니다.
징계를 받은 관련자들과
엮여 있는 고위 간부들이 많다보니
해임이나 정직 같은 중징계를 내리긴
어려웠을 거라는 겁니다.
더 큰 문제는 이들에 대한 징계 수위와 이유를
재단이 공개하지 않고 있다는 점.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제26조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감사결과는 원칙적으로 공개하게 돼있지만,
아직까진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인 ‘알리오’나
자체 홈페이지 등 어느곳에서도 인사위원회 결과는
찾아 볼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자신들의 솜방망이 처분에 대한 비판여론을 의식해
공개를 꺼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드는
대목입니다.
너무 가벼운 처분에
또다시 비판여론이 일 것을 우려해
쉬쉬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겁니다.
이에따라 청주BBS 취재진은
재단 측에 인사위원회 결과 공개를 요청했지만
돌아온 것은 타 부서로의 책임 떠밀기와
“자세한 사항을 모르겠다”는 답변 뿐이었습니다.
▶ 인서트
오송재단 감사팀 관계자입니다.
“이 건과 관련한 대응에 대해선 앞으로 재단 대외협력팀으로 일원화하기로 했습니다.”
▶ 인서트
이어서 오송재단 대외협력팀 관계자입니다.
“인사위원회와 관련한 어떠한 정보도 넘겨받은 바 없습니다.”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바이오 의료산업의 시작과 끝을 함께 하겠다는 오송재단.
이번 인사위원회의 공식 결과와 징계 이유에 대한
투명한 공개가 필요해보입니다.
BBS뉴스 김정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