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충북 과수화상병 진정세…43일만에 추가 발생 ‘제로’
페이지 정보
작성자 노진표 작성일2020.06.29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충북지역에서 43일 만에 과수화상병 추가 발생이 나타나지 않으면서 감염병 확산세가 한풀 꺾이는 모양새인데요.
충북도 등 방역당국은 때 이른 폭염의 영향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노진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부터 충북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과수농가에 큰 타격을 준 과수화상병이 진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충북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오늘(29일) 기준 과수화상병 확진 농가는 모두 450여 곳으로 추가 감염이 확인된 농가는 없었습니다.
신규 확진 사례가 없는 것은 지난달 16일 충주에서 이 병이 처음으로 발생한 지 43일 만입니다.
특히 지난 15일부터 신규 확진 사례가 하루 10건 이하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과수화상병 진정세 국면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의심 신고 역시 감소세로 접어들었습니다.
오늘(29일)까지 접수된 과수화상병 누적 의심 신고는 590여 건으로 새로 접수된 의심 신고는 1건에 불과합니다.
매몰작업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방역당국은 과수화사병 피해 농가의 전체 면적 255㏊(헥타아르) 가운데 99%에 해당하는 252㏊(헥타아르)의 매몰작업을 완료했습니다.
방역당국은 때 이른 무더위가 과수화상병의 확산세를 진정시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과수화상병 세균은 기온이 30도 이상 오르면 활동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35도가 넘으면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한편 충북도와 충주시를 비롯한 피해 지역 자치단체들은 피해 농가 지원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습니다.
피해 보상금 산정 기준이 변경돼 농민에게 지급되는 보상금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충북도는 과수화상병 피해 농가들에 지급될 보상금이 약 900억원 정도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과수화상병 확산이 소강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앞으로 3년 동안 과수 농사를 포기해야 하는 농민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BBS뉴스 노진표입니다.
충북지역에서 43일 만에 과수화상병 추가 발생이 나타나지 않으면서 감염병 확산세가 한풀 꺾이는 모양새인데요.
충북도 등 방역당국은 때 이른 폭염의 영향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노진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부터 충북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과수농가에 큰 타격을 준 과수화상병이 진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충북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오늘(29일) 기준 과수화상병 확진 농가는 모두 450여 곳으로 추가 감염이 확인된 농가는 없었습니다.
신규 확진 사례가 없는 것은 지난달 16일 충주에서 이 병이 처음으로 발생한 지 43일 만입니다.
특히 지난 15일부터 신규 확진 사례가 하루 10건 이하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과수화상병 진정세 국면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의심 신고 역시 감소세로 접어들었습니다.
오늘(29일)까지 접수된 과수화상병 누적 의심 신고는 590여 건으로 새로 접수된 의심 신고는 1건에 불과합니다.
매몰작업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방역당국은 과수화사병 피해 농가의 전체 면적 255㏊(헥타아르) 가운데 99%에 해당하는 252㏊(헥타아르)의 매몰작업을 완료했습니다.
방역당국은 때 이른 무더위가 과수화상병의 확산세를 진정시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과수화상병 세균은 기온이 30도 이상 오르면 활동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35도가 넘으면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한편 충북도와 충주시를 비롯한 피해 지역 자치단체들은 피해 농가 지원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습니다.
피해 보상금 산정 기준이 변경돼 농민에게 지급되는 보상금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충북도는 과수화상병 피해 농가들에 지급될 보상금이 약 900억원 정도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과수화상병 확산이 소강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앞으로 3년 동안 과수 농사를 포기해야 하는 농민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BBS뉴스 노진표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