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2030아시안게임 유치‘무산’…‘충청권 홀대론’ 제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정하 작성일2020.04.26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충청권 4개 시·도가 공동 추진했던
2030 아시안게임 유치가
우리 정부의 유치의향서 미승인으로
결국 무산됐는데요.
정부가 유치의향서를 승인하지 않은 배경에는
충청권 홀대론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정하 기잡니다.
[리포트]
2030 아시안게임
충청권 공동 유치가 무산되면서
충북도와 충북지역 체육계, 시민사회단체가
정부의 '충청권 홀대론'을 제기하고 나섰습니다.
2030 아시안게임 유치의향서를
최종 심사했던 문화체육관광부가
유독 충청권에만 엄격한 잣대를 적용했다는 겁니다.
아시안게임을 주관하는 아시아올림픽평의회는
관례적으로 대회 개최 8년 전
개최도시를 확정해 2022년 쯤에야
2030 아시안게임 개최도시를 결정할 전망이었습니다.
하지만 평의회는 돌연 그 시기를 2년 앞당겨
당장 이번달까지 각 국으로부터
유치의향서를 접수받기로 했고
급하게 준비에 나선 충북도 등 충청권 4개 시·도는
유치의향서 접수 마감일을 일주일 여를 앞두고
가까스로 문체부에 최종 승인을 요청할 수 있었습니다.
문제는 문체부가 끝내
유치의향서를 승인해주지 않았다는 겁니다.
문체부가 이같은 결정을 내린 가장 큰 이유는
시간부족과 유치의향서 부실.
열흘도 안되는 시간동안 유치 의향서를 검토하고
최종승인을 하기는 쉽지 않다는 겁니다.
또 유치의향서를 그대로 제출하기에는
너무 부실했다는 것이 그 이유였습니다.
결국 충청권 시·도는
평의회의 유치의향서 접수 시기를 맞추지 못했고
아시안게임 유치가 무산돼
그동안의 모든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습니다.
문체부의 이같은 결정에
충청권 시·도는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2032 서울-평양 올림픽'을 유치할 당시만하더라도
문체부는 유치의향서를 전달받은 뒤
나흘만에 국제올림픽위원회에
유치 의향서를 전달했다는 겁니다.
충북 체육계 역시
"정부 의지만 있었다면 선 '승인' 후 '보완' 절차를 거쳐
아시안게임 유치에 도전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습니다.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도 나서
"서울평양올림픽과 확연히 대비되는 과정을 볼 때
충청권 홀대론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2030 아시안게임 유치가 무산되면서
곳곳에서 정부를 향한 실망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습니다.
BBS뉴스 김정합니다.
충청권 4개 시·도가 공동 추진했던
2030 아시안게임 유치가
우리 정부의 유치의향서 미승인으로
결국 무산됐는데요.
정부가 유치의향서를 승인하지 않은 배경에는
충청권 홀대론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정하 기잡니다.
[리포트]
2030 아시안게임
충청권 공동 유치가 무산되면서
충북도와 충북지역 체육계, 시민사회단체가
정부의 '충청권 홀대론'을 제기하고 나섰습니다.
2030 아시안게임 유치의향서를
최종 심사했던 문화체육관광부가
유독 충청권에만 엄격한 잣대를 적용했다는 겁니다.
아시안게임을 주관하는 아시아올림픽평의회는
관례적으로 대회 개최 8년 전
개최도시를 확정해 2022년 쯤에야
2030 아시안게임 개최도시를 결정할 전망이었습니다.
하지만 평의회는 돌연 그 시기를 2년 앞당겨
당장 이번달까지 각 국으로부터
유치의향서를 접수받기로 했고
급하게 준비에 나선 충북도 등 충청권 4개 시·도는
유치의향서 접수 마감일을 일주일 여를 앞두고
가까스로 문체부에 최종 승인을 요청할 수 있었습니다.
문제는 문체부가 끝내
유치의향서를 승인해주지 않았다는 겁니다.
문체부가 이같은 결정을 내린 가장 큰 이유는
시간부족과 유치의향서 부실.
열흘도 안되는 시간동안 유치 의향서를 검토하고
최종승인을 하기는 쉽지 않다는 겁니다.
또 유치의향서를 그대로 제출하기에는
너무 부실했다는 것이 그 이유였습니다.
결국 충청권 시·도는
평의회의 유치의향서 접수 시기를 맞추지 못했고
아시안게임 유치가 무산돼
그동안의 모든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습니다.
문체부의 이같은 결정에
충청권 시·도는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2032 서울-평양 올림픽'을 유치할 당시만하더라도
문체부는 유치의향서를 전달받은 뒤
나흘만에 국제올림픽위원회에
유치 의향서를 전달했다는 겁니다.
충북 체육계 역시
"정부 의지만 있었다면 선 '승인' 후 '보완' 절차를 거쳐
아시안게임 유치에 도전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습니다.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도 나서
"서울평양올림픽과 확연히 대비되는 과정을 볼 때
충청권 홀대론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2030 아시안게임 유치가 무산되면서
곳곳에서 정부를 향한 실망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습니다.
BBS뉴스 김정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