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코로나19] 충북교육청, '3차 개학 연기 현실화'…학습 공백 우려 연장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현철 작성일2020.03.17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코로나19 사태로 전국 모든 학교의 개학일이 2주 더 연기됐습니다.
벌써 3번째 추가 개학 연기인데요.
휴업 연장 조치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 공백과 휴원 학원들의 지원 여부는 또 다시 연장선에 놓였습니다.
연현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사상 초유의 '4월 개학'이 현실화됐습니다.
교육부는 오늘(17일) 코로나19 여파로 전국의 모든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개학을 2주일 더 연기했습니다.
3차 개학 연기 방침으로 전국 학교 개학일은 당초 3월 2일에서 총 5주 미뤄진 다음달 3일이 됐습니다.
결국 4주 이상의 개학 연기로 학사 일정 변경도 불가피해졌습니다.
'2차 개학 연기'까지만 하더라도 수업일수 감축 없는 휴업이었으나, 이제는 수업일수에 비례해 수업시수도 감축할 수 있는 방안이 허용됐습니다.
이수단위가 줄지 않은 상황에서 수업일수만 줄 경우 일일 수업량이 늘 수 있다는 우려는 다소 누그러질 것으로 보입니다.
교육부의 발표에 이어 충북도교육청도 긴급 대책을 세웠습니다.
김영미 충북도교육청 교육국장은 오늘(17일) 오후 대책설명회를 열고 "휴업이 연장된 2주 만큼 수업일수를 10일 감축해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기존의 온라인 학습과 학생 생활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인서트
김영미 충북교육청 교육국장의 말입니다.
["학교의 휴업이 2주 더 연장되어 4월 3일까지 휴업에 들어갑니다. 다음주부터는 휴업 대응 2단계로 들어서면서 유치원은 180일, 초·중·고등학교는 190일수의 10% 범주 에서 수업일수를 감축하게 됩니다."]
하지만 아무리 온라인 학습과정을 유도하더라도 교사와 학생 간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학업 소통 부재는 여전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휴원 연장 권고로 생계적 어려움을 겪는 도내 학원가들에 대한 문제도 여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도교육청은 최근 사립유치원에 유아 학비 지원금을 선 지급하는 등의 대책에 나섰지만 긴급지원책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정부 차원의 해결 제시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한편 교육부는 코로나19 상황 변동에 따라 4차 개학 연기를 이어갈 수도, 아니면 예정보다 이른 이달 말 개학할 수도 있는 가능성을 열어둔 상황.
코로나19 사태로 교육 현장에도 변동이 잇따르면서 학생들의 학습 공백과 학원가의 근심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전국 모든 학교의 개학일이 2주 더 연기됐습니다.
벌써 3번째 추가 개학 연기인데요.
휴업 연장 조치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 공백과 휴원 학원들의 지원 여부는 또 다시 연장선에 놓였습니다.
연현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사상 초유의 '4월 개학'이 현실화됐습니다.
교육부는 오늘(17일) 코로나19 여파로 전국의 모든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개학을 2주일 더 연기했습니다.
3차 개학 연기 방침으로 전국 학교 개학일은 당초 3월 2일에서 총 5주 미뤄진 다음달 3일이 됐습니다.
결국 4주 이상의 개학 연기로 학사 일정 변경도 불가피해졌습니다.
'2차 개학 연기'까지만 하더라도 수업일수 감축 없는 휴업이었으나, 이제는 수업일수에 비례해 수업시수도 감축할 수 있는 방안이 허용됐습니다.
이수단위가 줄지 않은 상황에서 수업일수만 줄 경우 일일 수업량이 늘 수 있다는 우려는 다소 누그러질 것으로 보입니다.
교육부의 발표에 이어 충북도교육청도 긴급 대책을 세웠습니다.
김영미 충북도교육청 교육국장은 오늘(17일) 오후 대책설명회를 열고 "휴업이 연장된 2주 만큼 수업일수를 10일 감축해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기존의 온라인 학습과 학생 생활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인서트
김영미 충북교육청 교육국장의 말입니다.
["학교의 휴업이 2주 더 연장되어 4월 3일까지 휴업에 들어갑니다. 다음주부터는 휴업 대응 2단계로 들어서면서 유치원은 180일, 초·중·고등학교는 190일수의 10% 범주 에서 수업일수를 감축하게 됩니다."]
하지만 아무리 온라인 학습과정을 유도하더라도 교사와 학생 간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학업 소통 부재는 여전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휴원 연장 권고로 생계적 어려움을 겪는 도내 학원가들에 대한 문제도 여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도교육청은 최근 사립유치원에 유아 학비 지원금을 선 지급하는 등의 대책에 나섰지만 긴급지원책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정부 차원의 해결 제시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한편 교육부는 코로나19 상황 변동에 따라 4차 개학 연기를 이어갈 수도, 아니면 예정보다 이른 이달 말 개학할 수도 있는 가능성을 열어둔 상황.
코로나19 사태로 교육 현장에도 변동이 잇따르면서 학생들의 학습 공백과 학원가의 근심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