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충북도-도교육청, 갈등 재점화(?)…'미래인재육성 지원'에 입장차 극명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현철 작성일2019.12.23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김병우 충북도교육감이 오늘(23일) 열린 미래인재육성 방안과 관련 기자회견에서 충북도에 지원요청의 목소리를 냈는데요.
하지만 충북도는 '지원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해, 양 기관 간에 '명문고 육성' 갈등이 반복되는 모양새입니다.
보도에 연현철 기자입니다.
[리포트]
김병우 충북도교육감이 일반고 등 8개 영역의 미래인재육성 모델을 발표했습니다.
김 교육감은 오늘(23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존의 과학과 수학 중심의 과학고만으로는 4차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있는 창의융합형 AI 인재 육성에 한계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AI 교과 선택과목을 확대하고 충북도가 추진하는 중점 사업과 연계한 생명 바이오 선택과목을 늘리자"면서 충북도에 연차적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인서트]
김병우 충북도교육감
["도청과 긴밀한 협조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TF팀을 구성해 운영했고 교육청 자체 추진단 운영과 함께 전문가 위탁연구를 병행해 충북교육의 실제적 변화를 이끌 모델을 창출하고자 다각도로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충북도에 대한 지원 요청은 또 있었습니다.
김 교육감은 "영재교육을 체계적으로 기획할 수 있는 충북도 영재교육 기관이 필요하다"면서 이에 대한 설립 지원도 요청했습니다.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을 교육부에 건의했으나 정부의 '자사고·국제고·외고 일괄 일반고 전환' 등의 정책으로 다른 방향을 모색한 결과라는 게 김 교육감의 설명입니다.
끝으로 그는 "이시종 지사의 제안으로 이에 관한 마스터 플랜을 만들었고 충북도도 지원에 합의했다"고 끝맺었습니다.
하지만 김 교육감의 구상과 달리 충북도의 입장은 냉랭했습니다.
충북도가 김 교육감의 지원 요청에 분명한 거부 의사를 보였기 때문입니다.
과학고 확대 이전과 영재학교 전환, 영재교육지원센터 설립 모두 도교육청이 자체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항이라는 게 충북도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심지어 "도교육청이 발표한 내용은 현재 검토조차 하지 않고 있다"면서 "합의한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재정 지원 검토도 있을 수 없다"고 일축했습니다.
과학고의 AI 기반 영재학교 전환에 초점을 둔 충북도교육청.
이와 달리 지역 내에서 명문고를 육성하겠다는 충북도.
명문고 육성과 관련한 갈등이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양 기관의 반복된 충돌이 도민들의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김병우 충북도교육감이 오늘(23일) 열린 미래인재육성 방안과 관련 기자회견에서 충북도에 지원요청의 목소리를 냈는데요.
하지만 충북도는 '지원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해, 양 기관 간에 '명문고 육성' 갈등이 반복되는 모양새입니다.
보도에 연현철 기자입니다.
[리포트]
김병우 충북도교육감이 일반고 등 8개 영역의 미래인재육성 모델을 발표했습니다.
김 교육감은 오늘(23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존의 과학과 수학 중심의 과학고만으로는 4차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있는 창의융합형 AI 인재 육성에 한계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AI 교과 선택과목을 확대하고 충북도가 추진하는 중점 사업과 연계한 생명 바이오 선택과목을 늘리자"면서 충북도에 연차적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인서트]
김병우 충북도교육감
["도청과 긴밀한 협조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TF팀을 구성해 운영했고 교육청 자체 추진단 운영과 함께 전문가 위탁연구를 병행해 충북교육의 실제적 변화를 이끌 모델을 창출하고자 다각도로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충북도에 대한 지원 요청은 또 있었습니다.
김 교육감은 "영재교육을 체계적으로 기획할 수 있는 충북도 영재교육 기관이 필요하다"면서 이에 대한 설립 지원도 요청했습니다.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을 교육부에 건의했으나 정부의 '자사고·국제고·외고 일괄 일반고 전환' 등의 정책으로 다른 방향을 모색한 결과라는 게 김 교육감의 설명입니다.
끝으로 그는 "이시종 지사의 제안으로 이에 관한 마스터 플랜을 만들었고 충북도도 지원에 합의했다"고 끝맺었습니다.
하지만 김 교육감의 구상과 달리 충북도의 입장은 냉랭했습니다.
충북도가 김 교육감의 지원 요청에 분명한 거부 의사를 보였기 때문입니다.
과학고 확대 이전과 영재학교 전환, 영재교육지원센터 설립 모두 도교육청이 자체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항이라는 게 충북도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심지어 "도교육청이 발표한 내용은 현재 검토조차 하지 않고 있다"면서 "합의한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재정 지원 검토도 있을 수 없다"고 일축했습니다.
과학고의 AI 기반 영재학교 전환에 초점을 둔 충북도교육청.
이와 달리 지역 내에서 명문고를 육성하겠다는 충북도.
명문고 육성과 관련한 갈등이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양 기관의 반복된 충돌이 도민들의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