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유행열 전 청와대 행정관, '미투 폭로' 여성 등 고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현철 작성일2019.12.02 댓글0건본문
(R) 유행열 전 청와대 행정관, '미투 폭로' 여성 등 고소
- 강요미수·명예훼손 등 사회단체 관계자 5명 처벌 요구
[앵커멘트]
지난해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미투' 논란에 휘말려 청주시장 출마를 포기한 유행열 전 청와대 행정관이 폭로 여성을 포함해 사회단체 관계자들을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처벌해 달라며 검찰에 고소했습니다.
어떻게 된 일인지, 연현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청주시장 선거에 출마한 유행열 전 청와대 행정관에 대한 미투 폭로가 나온 것은 그 해 4월.
33년 전 유 전 행정관이 대학에 다니던 지난 1986년 후배 여성을 강제로 성폭행하려 했다는 주장이었습니다.
이같은 폭로는 지난해 4월 11일 민주당 충북도당 홈페이지에 게시된 '미투를 말한다. 유행열은 당장 피해자에게 공개사과하고 청주시장후보 사퇴하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확산됐습니다.
결국 유 전 행정관은 여성계 등의 사퇴요구 압박과 민주당 내 청주시장 경선 일정 정지 등으로 출마를 포기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유 전 행정관은 출마 포기 기자회견에서 "사실과 다르다. 법적으로나 도덕적으로 떳떳하다"며 억울함을 호소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유 전 행정관이 최근 미투 폭로글 게시자와 지역 모 사회단체 관계자 등 모두 5명을 고소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습니다.
미투 논란이 불거진지 1년 5개월여 만입니다.
유 전 행정관은 최근 '강요미수'와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이들을 처벌해 달라며 청주지검에 고소장을 접수했습니다.
청주지검은 청주상당경찰서에 수사를 지휘했고, 경찰은 즉각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고소장에서 유 전 행정관은 과거 교사로 재직했던 자신의 아내가 한 교사 모임에서 모임 내부 비판과 관련한 증언을 한 사실이 미투 사건의 배경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유 전 행정관은 고소장에서 "(피고소인들은) 배우자가 과거 자신들이 소속된 모 연구모임을 근거없이 모함했다고 단정했다"며 "자신과 배우자에게 지속적으로 과거 일에 대한 공개사과를 요구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공개사과 요구를 거부할 경우 과거 거짓 사실을 '미투'로 폭로할 것처럼 협박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고소건과 관련해 경찰 관계자는 "차례로 참고인 조사를 진행 중에 있다"면서도 "현재 조사 중인 사안으로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해 줄 수 없다"고 전했습니다.
경찰은 고소장 내용을 토대로 혐의 적용 여부 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 강요미수·명예훼손 등 사회단체 관계자 5명 처벌 요구
[앵커멘트]
지난해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미투' 논란에 휘말려 청주시장 출마를 포기한 유행열 전 청와대 행정관이 폭로 여성을 포함해 사회단체 관계자들을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처벌해 달라며 검찰에 고소했습니다.
어떻게 된 일인지, 연현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청주시장 선거에 출마한 유행열 전 청와대 행정관에 대한 미투 폭로가 나온 것은 그 해 4월.
33년 전 유 전 행정관이 대학에 다니던 지난 1986년 후배 여성을 강제로 성폭행하려 했다는 주장이었습니다.
이같은 폭로는 지난해 4월 11일 민주당 충북도당 홈페이지에 게시된 '미투를 말한다. 유행열은 당장 피해자에게 공개사과하고 청주시장후보 사퇴하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확산됐습니다.
결국 유 전 행정관은 여성계 등의 사퇴요구 압박과 민주당 내 청주시장 경선 일정 정지 등으로 출마를 포기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유 전 행정관은 출마 포기 기자회견에서 "사실과 다르다. 법적으로나 도덕적으로 떳떳하다"며 억울함을 호소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유 전 행정관이 최근 미투 폭로글 게시자와 지역 모 사회단체 관계자 등 모두 5명을 고소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습니다.
미투 논란이 불거진지 1년 5개월여 만입니다.
유 전 행정관은 최근 '강요미수'와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이들을 처벌해 달라며 청주지검에 고소장을 접수했습니다.
청주지검은 청주상당경찰서에 수사를 지휘했고, 경찰은 즉각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고소장에서 유 전 행정관은 과거 교사로 재직했던 자신의 아내가 한 교사 모임에서 모임 내부 비판과 관련한 증언을 한 사실이 미투 사건의 배경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유 전 행정관은 고소장에서 "(피고소인들은) 배우자가 과거 자신들이 소속된 모 연구모임을 근거없이 모함했다고 단정했다"며 "자신과 배우자에게 지속적으로 과거 일에 대한 공개사과를 요구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공개사과 요구를 거부할 경우 과거 거짓 사실을 '미투'로 폭로할 것처럼 협박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고소건과 관련해 경찰 관계자는 "차례로 참고인 조사를 진행 중에 있다"면서도 "현재 조사 중인 사안으로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해 줄 수 없다"고 전했습니다.
경찰은 고소장 내용을 토대로 혐의 적용 여부 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