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충북 특성화고 3학년 "대기업보다 중소기업"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현철 작성일2019.11.20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충북지역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들의
취업 성향이 크게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생들은 연봉이 높은 대기업보다
유연한 조직분위기와
복지 수준이 높은 중소기업을
더 선호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자세한 소식, 연현철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충북 지역의 특성화고 졸업예정자들은 대기업보다 지역의 중소기업 취업 희망이 많았습니다.
게다가 청주 오송과 오창 산업단지에 있는 바이오 기업들에 대해서도 관심이 적지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청주상공회의소가 최근 충북지역 26개 특성화고 중 25개 학교 졸업 예정자 2천 450명을 대상으로 '특성화고교생 구직성향'을 조사한 결과 응답 학생의 84.9%가 직장을 선택할 때 '자유롭고 유연한 조직분위기'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복지수준이 높은 회사 84.6%, 직무가 적성에 맞는 회사 84.2%, 유명한 회사 39.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학생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최저연봉은 2천836만원이었습니다.
취업 희망기업은 중소기업이 32.4%로 가장 높았고, 대기업 19.6%, 중견기업 19% 순이었습니다.
이어 공기업·공공기관은 10.7%, 공무원은 6.7%로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공기업과 정부기관의 인기가 그다지 높진 않았습니다.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인식은 '전공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45.9%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 '출퇴근이 용이하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34%나 차지했습니다.
충북지역 특성화고 졸업예정자들의 51.1%는 교과 과정이 취업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했습니다.
그렇지만 특성화 학생들은 '스펙 쌓기(72.7%)'와 입사 준비서류 작성(68.6%)이 취업 준비에 어려운 요인으로 꼬집었습니다.
청주상공회의소 관계자는 "특성화고 학생들이 직업을 선택 할 때 연봉이 높은 대기업 보다는 적성에 맞고, 조직 분위기와 복지수준이 좋은 내실 있는 중소기업을 선호하는 성향으로 바뀌었음을 확인시켰다"고 말했습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충북지역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들의
취업 성향이 크게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생들은 연봉이 높은 대기업보다
유연한 조직분위기와
복지 수준이 높은 중소기업을
더 선호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자세한 소식, 연현철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충북 지역의 특성화고 졸업예정자들은 대기업보다 지역의 중소기업 취업 희망이 많았습니다.
게다가 청주 오송과 오창 산업단지에 있는 바이오 기업들에 대해서도 관심이 적지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청주상공회의소가 최근 충북지역 26개 특성화고 중 25개 학교 졸업 예정자 2천 450명을 대상으로 '특성화고교생 구직성향'을 조사한 결과 응답 학생의 84.9%가 직장을 선택할 때 '자유롭고 유연한 조직분위기'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복지수준이 높은 회사 84.6%, 직무가 적성에 맞는 회사 84.2%, 유명한 회사 39.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학생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최저연봉은 2천836만원이었습니다.
취업 희망기업은 중소기업이 32.4%로 가장 높았고, 대기업 19.6%, 중견기업 19% 순이었습니다.
이어 공기업·공공기관은 10.7%, 공무원은 6.7%로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공기업과 정부기관의 인기가 그다지 높진 않았습니다.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인식은 '전공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45.9%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 '출퇴근이 용이하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34%나 차지했습니다.
충북지역 특성화고 졸업예정자들의 51.1%는 교과 과정이 취업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했습니다.
그렇지만 특성화 학생들은 '스펙 쌓기(72.7%)'와 입사 준비서류 작성(68.6%)이 취업 준비에 어려운 요인으로 꼬집었습니다.
청주상공회의소 관계자는 "특성화고 학생들이 직업을 선택 할 때 연봉이 높은 대기업 보다는 적성에 맞고, 조직 분위기와 복지수준이 좋은 내실 있는 중소기업을 선호하는 성향으로 바뀌었음을 확인시켰다"고 말했습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