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민속공예거리 이름 무색…충주 공예전시관 '방치' 논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노진표 작성일2019.11.18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충주 지역엔
다양한 공예품을 감상할 수 있는
유명관광지 '민속공예거리'가 있습니다.
충주시는 지난 2006년
관광산업 육성을 위해 거리 인근에
공예전시관까지 건립했는데요.
하지만 필수 여행 코스로 추천되고 있는
공예전시관이 방치되고 있어
지자체의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노진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충주시 중앙탑면에 위치한 민속공예거리.
지난 1990년대 후반부터
고미술 상인들과 공예가들이 모이며
자연스럽게 형성된 거리입니다.
'충주의 인사동'이란 별명답게
5km에 걸쳐 분포한 100여 개의 매장과 전시장에서
솟대와 수석, 불상 등
다양한 공예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발맞춰 충주시는
관광브랜드 강화를 위해 지난 2006년
공예거리 인근에 국비와 도비를 지원받아
전시장과 판매장, 체험장 등을 갖춘
공예전시관을 설립했습니다.
그동안 전시관은
방패연 만들기나 민화 부채 만들기, 천연 염색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충주시의 대표적인 관광지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전시관 체험은 이제 옛말이 됐습니다.
전시관이 지난 2015년
에코폴리스 개발사업 부지로 포함되면서
휴관에 돌입했기 때문입니다.
에코폴리스 사업은
지난 2017년 무산됐음에도
전시관은 현재까지도 문을 닫은 상황.
전시관 홈페이지는
현재 접속조차 되지 않습니다.
전시관이 4년 넘게
문을 닫은 상황이지만
충주시는 이 곳을
지역 필수 여행 코스에 선정해 홍보하고 있습니다.
이에 전시관을 찾은 일부 관광객들은
"충주시가
보여주기식 홍보를 벌이고 있다"며
볼멘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충주시가 관광 홍보에 있어
'엇박자 행정'을 보이고 있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게다가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전시관은
위탁 운영을 맡길 적임자를 찾지 못한다는 이유로
시간만 흐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서트]
충주시 관계자의 말입니다.
관광 활성화를 위해 조성된 전시관이
다시 굳게 잠긴 문을 열 수 있기 위한
지자체의 예산 수립 등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BBS 뉴스 노진표입니다.
충주 지역엔
다양한 공예품을 감상할 수 있는
유명관광지 '민속공예거리'가 있습니다.
충주시는 지난 2006년
관광산업 육성을 위해 거리 인근에
공예전시관까지 건립했는데요.
하지만 필수 여행 코스로 추천되고 있는
공예전시관이 방치되고 있어
지자체의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노진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충주시 중앙탑면에 위치한 민속공예거리.
지난 1990년대 후반부터
고미술 상인들과 공예가들이 모이며
자연스럽게 형성된 거리입니다.
'충주의 인사동'이란 별명답게
5km에 걸쳐 분포한 100여 개의 매장과 전시장에서
솟대와 수석, 불상 등
다양한 공예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발맞춰 충주시는
관광브랜드 강화를 위해 지난 2006년
공예거리 인근에 국비와 도비를 지원받아
전시장과 판매장, 체험장 등을 갖춘
공예전시관을 설립했습니다.
그동안 전시관은
방패연 만들기나 민화 부채 만들기, 천연 염색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충주시의 대표적인 관광지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전시관 체험은 이제 옛말이 됐습니다.
전시관이 지난 2015년
에코폴리스 개발사업 부지로 포함되면서
휴관에 돌입했기 때문입니다.
에코폴리스 사업은
지난 2017년 무산됐음에도
전시관은 현재까지도 문을 닫은 상황.
전시관 홈페이지는
현재 접속조차 되지 않습니다.
전시관이 4년 넘게
문을 닫은 상황이지만
충주시는 이 곳을
지역 필수 여행 코스에 선정해 홍보하고 있습니다.
이에 전시관을 찾은 일부 관광객들은
"충주시가
보여주기식 홍보를 벌이고 있다"며
볼멘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충주시가 관광 홍보에 있어
'엇박자 행정'을 보이고 있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게다가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전시관은
위탁 운영을 맡길 적임자를 찾지 못한다는 이유로
시간만 흐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서트]
충주시 관계자의 말입니다.
관광 활성화를 위해 조성된 전시관이
다시 굳게 잠긴 문을 열 수 있기 위한
지자체의 예산 수립 등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BBS 뉴스 노진표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