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충북도·도의회, 독립운동 유적 발굴·친일잔재 청산‘합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정하 작성일2019.10.20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올해는 3.1운동 100주년이자,
임시정부가 수립된 지
100주년을 맞는 해입니다.
충북지역에도
아직까지 크게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 유적과
친일 역사 유적이 많은데요.
충북도와 도의회가
관련 조례안을 발의하는 등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김정하 기잡니다.
[리포트]
충북도와 도의회의
독립운동 사적지 발굴사업이 시작된 건
지난 3월.
도의회가
‘독립운동 유적 발굴 보존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면서 부터입니다.
조례안에는
도지사가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독립운동 관련 자료를 수집한 후
보존 및 역사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유적에 대해
별도의 보호조치를 강구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도의회에 따르면 도내 독립운동 사적지는
모두 139곳으로
전국에서 4번째로 많지만,
안내판조차 없는 곳이 수두룩합니다.
충북도는 내년 9월
독립운동 유적 전수조사를 위한
연구용역이 끝나는대로
사적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에
나설 방침입니다.
이와함께 충북도와 도의회는
도내에 산재한 친일 잔재를 조사해
교육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도
추진키로 했습니다.
실제로
도내 곳곳의 일부 면사무소에는
친일 행위자 관련 '송덕비'가
버젓이 세워져 있지만
이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다반사고,
심지어 도내 일부 지역에는 일본 강점기 당시의
이름 모를 신사 터도 산재해 있습니다.
도의회는 다음 달
'일제 친일 잔재물 보존과
교육 활용에 관한 조례안'을 발의해
충북도와 함께
일본 강점기 당시 친일 잔재를
데이터베이스화 시킬 계획입니다.
충북도와 도의회는
“청산 대상에는 적합한 조처를 하고
보존할 것은 관리하면서
후손에게 일제 강점기 당시의 참혹함,
친일 행위자의 파렴치한 행적 등을
제대로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충북도와 도의회가
독립운동 유적 발굴과 친일잔재 청산에
힘을 모으고 있습니다.
BBS뉴스 김정합니다.
올해는 3.1운동 100주년이자,
임시정부가 수립된 지
100주년을 맞는 해입니다.
충북지역에도
아직까지 크게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 유적과
친일 역사 유적이 많은데요.
충북도와 도의회가
관련 조례안을 발의하는 등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김정하 기잡니다.
[리포트]
충북도와 도의회의
독립운동 사적지 발굴사업이 시작된 건
지난 3월.
도의회가
‘독립운동 유적 발굴 보존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면서 부터입니다.
조례안에는
도지사가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독립운동 관련 자료를 수집한 후
보존 및 역사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유적에 대해
별도의 보호조치를 강구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도의회에 따르면 도내 독립운동 사적지는
모두 139곳으로
전국에서 4번째로 많지만,
안내판조차 없는 곳이 수두룩합니다.
충북도는 내년 9월
독립운동 유적 전수조사를 위한
연구용역이 끝나는대로
사적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에
나설 방침입니다.
이와함께 충북도와 도의회는
도내에 산재한 친일 잔재를 조사해
교육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도
추진키로 했습니다.
실제로
도내 곳곳의 일부 면사무소에는
친일 행위자 관련 '송덕비'가
버젓이 세워져 있지만
이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다반사고,
심지어 도내 일부 지역에는 일본 강점기 당시의
이름 모를 신사 터도 산재해 있습니다.
도의회는 다음 달
'일제 친일 잔재물 보존과
교육 활용에 관한 조례안'을 발의해
충북도와 함께
일본 강점기 당시 친일 잔재를
데이터베이스화 시킬 계획입니다.
충북도와 도의회는
“청산 대상에는 적합한 조처를 하고
보존할 것은 관리하면서
후손에게 일제 강점기 당시의 참혹함,
친일 행위자의 파렴치한 행적 등을
제대로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충북도와 도의회가
독립운동 유적 발굴과 친일잔재 청산에
힘을 모으고 있습니다.
BBS뉴스 김정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