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한일경제전쟁, 충북 농식품'직격탄'…대응방안‘절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정하 작성일2019.08.07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최근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한일관계가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데요.
한일경제전쟁으로 인한
충북지역의 피해 방지를 위해선
구체적인 대응방안이 절실해보입니다.
보도에 김정하 기잡니다.
[리포트]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
도내 농수산식품의 일본 수출액은
모두 7천754만3천여달러,
한화로 942억원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올해 상반기만 따져봤을때
충북지역 전체 농수산식품 수출액에서
일본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36.5%에 달하는 겁니다.
순수 국가로만 따지면
일본은 충북지역 농수산식품의
최대 수출국인 상황.
이런 가운데 최근 일본이 우리나라를
수출심사 우대국,
즉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키로 결정하면서
농수산식품 수출에도
큰 타격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일본에 수출하는
충북지역 주요 농산물인 홍삼엑기스와
방울토마토, 파트리카 등
지난달 이들 농산물 수출액은
전년과 대비해 20%가까이 줄어들었습니다.
충북도는 이 난관을 타계하기 위해
수출국 다변화 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
시장규모가 크고 농식품 선호도가 높은
미국이나 중국, 베트남 등의 대안시장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마케팅에 나서고,
신규시장 개척에 나서겠다는 겁니다.
또 충북도는
일본 수출규제 대응을 위한
민·관 합동TF팀 구성과
도내 기업 경영자금 특별지원대책 마련,
수출기업 피해신고센터 설치 등의
대책도 추진키로 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선
“충북도의 대응이
너무 미온적인 것 아니냐”는
볼멘 소리가 나옵니다.
“구체적인 대응방안 없이
그저 뜬구름 잡기식 사태파악이나
눈치보기식 관망만 하고 있을 뿐
일본 경제보복으로 피해를 입을
농가들과 기업들을 위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일은
전혀하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한일관계가 악화일로를 걸으며
지역에 큰 피해가 예상되는 가운데,
앞으로 충북도가 내놓을 경제적 대응에
도민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BBS뉴스 김정합니다.
최근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한일관계가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데요.
한일경제전쟁으로 인한
충북지역의 피해 방지를 위해선
구체적인 대응방안이 절실해보입니다.
보도에 김정하 기잡니다.
[리포트]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
도내 농수산식품의 일본 수출액은
모두 7천754만3천여달러,
한화로 942억원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올해 상반기만 따져봤을때
충북지역 전체 농수산식품 수출액에서
일본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36.5%에 달하는 겁니다.
순수 국가로만 따지면
일본은 충북지역 농수산식품의
최대 수출국인 상황.
이런 가운데 최근 일본이 우리나라를
수출심사 우대국,
즉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키로 결정하면서
농수산식품 수출에도
큰 타격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일본에 수출하는
충북지역 주요 농산물인 홍삼엑기스와
방울토마토, 파트리카 등
지난달 이들 농산물 수출액은
전년과 대비해 20%가까이 줄어들었습니다.
충북도는 이 난관을 타계하기 위해
수출국 다변화 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
시장규모가 크고 농식품 선호도가 높은
미국이나 중국, 베트남 등의 대안시장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마케팅에 나서고,
신규시장 개척에 나서겠다는 겁니다.
또 충북도는
일본 수출규제 대응을 위한
민·관 합동TF팀 구성과
도내 기업 경영자금 특별지원대책 마련,
수출기업 피해신고센터 설치 등의
대책도 추진키로 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선
“충북도의 대응이
너무 미온적인 것 아니냐”는
볼멘 소리가 나옵니다.
“구체적인 대응방안 없이
그저 뜬구름 잡기식 사태파악이나
눈치보기식 관망만 하고 있을 뿐
일본 경제보복으로 피해를 입을
농가들과 기업들을 위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일은
전혀하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한일관계가 악화일로를 걸으며
지역에 큰 피해가 예상되는 가운데,
앞으로 충북도가 내놓을 경제적 대응에
도민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BBS뉴스 김정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