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오는 15일 청주서 200여대 시내버스 시동 꺼…시민들 '불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현철 작성일2019.05.14 댓글0건본문
(R) 오는 15일 청주서 200여대 시내버스 시동 꺼…시민들 '불안'
[앵커멘트]
전국 지역 버스노조가 당장 내일(15일) 시내버스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청주에서도 200여 대의 버스가 운행을 멈출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요.
이에 청주시가 관용버스를 이용한 비상운송 등의 대책을 내놓았지만 시민들의 혼란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연현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에 따른 임금 손실 보전과 정년 연장, 근로 일수 조정 등을 요구하고 나선 버스 노조.
청주에서도 청주교통을 비롯해 한성운수, 동일운수, 청신운수 등 시내버스 4개 업체가 내일(15일) 전국 버스노조 파업에 동참할 것을 예고했습니다.
파업 예상 인원만 580여 명, 파업으로 인해 운행을 멈추는 버스는 현재까지 청주 시내버스의 절반이 넘는 240여 대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앞서 지난 8일 진행된 청주 시내버스 노조원 찬반투표에선 90% 이상이 파업에 찬성한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이들의 파업은 거의 확실시 된 상황.
출퇴근 시간 대 발생할 대중교통의 구멍을 막기 위해 청주시도 발 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청주시는 먼저 파업 당일, 노총에 속하지 않은 우진교통과 동일운수의 예비차량까지 투입해 20개 정규노선에 140여 대 등 모두 28개 노선에 170여 대를 운행할 계획입니다.
여기에 청주시와 충북도의 공용버스 10여 대를 추가로 투입하고 택시 부제 전면 해제는 물론이고 공공기관 및 기업체의 출퇴근 시간 조정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파업이 하루에 그치지 않고 3일 이상 장기화될 경우 입니다.
이럴 경우 청주시는 전세버스 임차까지도 검토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임차대수가 100여 대에 불과하지만 확보가 어려울 경우엔 민간 자가용 유상운송 허가를 통해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일각에선 한시적이지만 지자체의 무리한 임차와 민간 운송 허가가 오히려 시민들의 혼란만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충북도는 올해 하반기 시내버스 요금 인상을 예고하고 청주시는 준공영제 도입을 논의하고 있는 상황과 맞닿은 전국 버스노조 파업.
지자체가 대책 마련에 팔 걷고 나섰지만 당장 내일(15일) 있을 버스 파업이 장기화되진 않을까 시민들의 걱정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앵커멘트]
전국 지역 버스노조가 당장 내일(15일) 시내버스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청주에서도 200여 대의 버스가 운행을 멈출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요.
이에 청주시가 관용버스를 이용한 비상운송 등의 대책을 내놓았지만 시민들의 혼란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연현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에 따른 임금 손실 보전과 정년 연장, 근로 일수 조정 등을 요구하고 나선 버스 노조.
청주에서도 청주교통을 비롯해 한성운수, 동일운수, 청신운수 등 시내버스 4개 업체가 내일(15일) 전국 버스노조 파업에 동참할 것을 예고했습니다.
파업 예상 인원만 580여 명, 파업으로 인해 운행을 멈추는 버스는 현재까지 청주 시내버스의 절반이 넘는 240여 대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앞서 지난 8일 진행된 청주 시내버스 노조원 찬반투표에선 90% 이상이 파업에 찬성한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이들의 파업은 거의 확실시 된 상황.
출퇴근 시간 대 발생할 대중교통의 구멍을 막기 위해 청주시도 발 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청주시는 먼저 파업 당일, 노총에 속하지 않은 우진교통과 동일운수의 예비차량까지 투입해 20개 정규노선에 140여 대 등 모두 28개 노선에 170여 대를 운행할 계획입니다.
여기에 청주시와 충북도의 공용버스 10여 대를 추가로 투입하고 택시 부제 전면 해제는 물론이고 공공기관 및 기업체의 출퇴근 시간 조정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파업이 하루에 그치지 않고 3일 이상 장기화될 경우 입니다.
이럴 경우 청주시는 전세버스 임차까지도 검토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임차대수가 100여 대에 불과하지만 확보가 어려울 경우엔 민간 자가용 유상운송 허가를 통해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일각에선 한시적이지만 지자체의 무리한 임차와 민간 운송 허가가 오히려 시민들의 혼란만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충북도는 올해 하반기 시내버스 요금 인상을 예고하고 청주시는 준공영제 도입을 논의하고 있는 상황과 맞닿은 전국 버스노조 파업.
지자체가 대책 마련에 팔 걷고 나섰지만 당장 내일(15일) 있을 버스 파업이 장기화되진 않을까 시민들의 걱정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