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조합장선거 D-3, 돈 선거 관행‘여전’…22건 적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정하 작성일2019.03.10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제2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이제 사흘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과거 조합장선거는
‘금품선거’, ‘돈선거’라는
오명으로 불려왔는데요.
지난 2015년부터는
불법선거를 막자는 취지로
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를 위탁받아 치르게 됐지만
금품선거의 관행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보도에 김정하 기잡니다.
[리포트]
충주 모 조합장 선거에 출마한 A씨는
기부행위 제한기간인
지난해 9월과 11월
조합원들이 참석한 행사에
각각 30만원·50만원의 찬조금을 제공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됐습니다.
충주지역의
또 다른 조합장 선거에 출마한 B씨도
지난달 중순
조합 운영공개회가 개최된 마을회관 앞에서
조합원에게 현금 5만원을 제공하려 한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
또 최근엔
진천의 모 조합장 선거에 나선 C씨가
지난해 10월 조합원이 속한 단체에
쌀을 제공하고,
지난 1월 본인의 직함·성명이 기재된
쌀 50포를 지역 내 마을 경로당·마을회관에 배부했다가
선관위에 적발되기도 했습니다.
충북도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 조합장선거와 관련해
선관위에 적발된 위법행위는 모두 22건에
달했습니다.
[인서트]
남승환 충북도선관위 공보계장입니다.
특히 도 선관위가 고발한 5건 중 4건이
금품제공 관련 위법행위였을 정도로
금품·음식물 제공 등
돈선거 관행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도 선관위는
선거를 사흘 앞두고
막바지 불법행위를 막기 위해
단속활동에 나섰습니다.
도 선관위는
광역조사팀과 공정선거지원단 등
단속인력을 모두 동원해
예방·단속활동을 벌이고
과열·혼탁 우려가 있는 지역에 대해서는
순회활동을 강화했습니다.
[인서트]
남승환 충북도선관위 공보계장입니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전국동시조합장선거.
깨끗한 선거문화 정착을 위해
후보자들과 조합원들의
성숙한 선거의식이 필요해보입니다.
BBS뉴스 김정합니다.
제2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이제 사흘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과거 조합장선거는
‘금품선거’, ‘돈선거’라는
오명으로 불려왔는데요.
지난 2015년부터는
불법선거를 막자는 취지로
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를 위탁받아 치르게 됐지만
금품선거의 관행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보도에 김정하 기잡니다.
[리포트]
충주 모 조합장 선거에 출마한 A씨는
기부행위 제한기간인
지난해 9월과 11월
조합원들이 참석한 행사에
각각 30만원·50만원의 찬조금을 제공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됐습니다.
충주지역의
또 다른 조합장 선거에 출마한 B씨도
지난달 중순
조합 운영공개회가 개최된 마을회관 앞에서
조합원에게 현금 5만원을 제공하려 한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
또 최근엔
진천의 모 조합장 선거에 나선 C씨가
지난해 10월 조합원이 속한 단체에
쌀을 제공하고,
지난 1월 본인의 직함·성명이 기재된
쌀 50포를 지역 내 마을 경로당·마을회관에 배부했다가
선관위에 적발되기도 했습니다.
충북도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 조합장선거와 관련해
선관위에 적발된 위법행위는 모두 22건에
달했습니다.
[인서트]
남승환 충북도선관위 공보계장입니다.
특히 도 선관위가 고발한 5건 중 4건이
금품제공 관련 위법행위였을 정도로
금품·음식물 제공 등
돈선거 관행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도 선관위는
선거를 사흘 앞두고
막바지 불법행위를 막기 위해
단속활동에 나섰습니다.
도 선관위는
광역조사팀과 공정선거지원단 등
단속인력을 모두 동원해
예방·단속활동을 벌이고
과열·혼탁 우려가 있는 지역에 대해서는
순회활동을 강화했습니다.
[인서트]
남승환 충북도선관위 공보계장입니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전국동시조합장선거.
깨끗한 선거문화 정착을 위해
후보자들과 조합원들의
성숙한 선거의식이 필요해보입니다.
BBS뉴스 김정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