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김병우 충북교육감, ‘교원대부설고’ 명문고 육성 제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현철 작성일2019.03.04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충북도와 도교육청이
명문고 육성을 두고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데요.
김병우 교육감이
한국교원대 부설고등학교를
신개념 명문고로 육성하자는
협상안을 제시하면서
충북도의 반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보도에 연현철 기잡니다.
[리포트]
김병우 교육감이 자신의 SNS를 통해
"국가 교육 어젠다의 실험학교인
교원대부설고를 국립 미래학교로
육성하자"는 내용의 글을 올린건 지난 3일.
김 교육감은 "교원대부설고를
오송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면서
"신개념 명문고는 시대에 맞지 않고
남을 따라가는 기존 모델로서는
만들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김 교육감의 이러한 발언은
충북도가 명문고 육성의 대안으로
설정한 자율형 사립고 설립만큼은
막겠다는 뜻을 강하게 드러낸 걸로 풀이됩니다.
김 교육감이 이같은 대안을 제시하자
충북도는 다소 의아하다는 반응입니다.
교원대부설고 육성 방안은
도교육청이 당연히 거부할 것을 예상해
충북도가 사전 회의에서 제외시킨
협상안이었기 때문입니다.
충북도 관계자는
"김 교육감이 이같은 방안을
제시한 것은 뜻 밖이라며
충분한 협의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김 교육감의 교원대부설고 육성안은
충북도와 도교육청 양 기관 모두
받아들이는 데 불편함이
없을 거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명문고 육성을 두고 갈등이 지속될 경우,
이 지사와 김 교육감 모두
이와 관련한 책임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앞서 충북도가 도교육청과의
사전 협의 없이 일반고교를 대상으로
명문대 진학률을 조사한 것과 관련해
교육계의 적잖은 비난을 받으면서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지는 것만은
막아야 한다는 게
양 기관 관계자들의 설명입니다.
"한국교원대로 충북의 국립대 부설학교는
타 시·도의 두배인 점이
'혹'이 아닌 '복'이 되게
해야 한다"는 김 교육감.
김 교육감의 협상안을 두고
충북도가 어떤 결과를 내놓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충북도와 도교육청이
명문고 육성을 두고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데요.
김병우 교육감이
한국교원대 부설고등학교를
신개념 명문고로 육성하자는
협상안을 제시하면서
충북도의 반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보도에 연현철 기잡니다.
[리포트]
김병우 교육감이 자신의 SNS를 통해
"국가 교육 어젠다의 실험학교인
교원대부설고를 국립 미래학교로
육성하자"는 내용의 글을 올린건 지난 3일.
김 교육감은 "교원대부설고를
오송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면서
"신개념 명문고는 시대에 맞지 않고
남을 따라가는 기존 모델로서는
만들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김 교육감의 이러한 발언은
충북도가 명문고 육성의 대안으로
설정한 자율형 사립고 설립만큼은
막겠다는 뜻을 강하게 드러낸 걸로 풀이됩니다.
김 교육감이 이같은 대안을 제시하자
충북도는 다소 의아하다는 반응입니다.
교원대부설고 육성 방안은
도교육청이 당연히 거부할 것을 예상해
충북도가 사전 회의에서 제외시킨
협상안이었기 때문입니다.
충북도 관계자는
"김 교육감이 이같은 방안을
제시한 것은 뜻 밖이라며
충분한 협의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김 교육감의 교원대부설고 육성안은
충북도와 도교육청 양 기관 모두
받아들이는 데 불편함이
없을 거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명문고 육성을 두고 갈등이 지속될 경우,
이 지사와 김 교육감 모두
이와 관련한 책임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앞서 충북도가 도교육청과의
사전 협의 없이 일반고교를 대상으로
명문대 진학률을 조사한 것과 관련해
교육계의 적잖은 비난을 받으면서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지는 것만은
막아야 한다는 게
양 기관 관계자들의 설명입니다.
"한국교원대로 충북의 국립대 부설학교는
타 시·도의 두배인 점이
'혹'이 아닌 '복'이 되게
해야 한다"는 김 교육감.
김 교육감의 협상안을 두고
충북도가 어떤 결과를 내놓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