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남아프리카 ‘발톱개구리’, 청주의 습지에서 발견…생태계 교란 심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호상 작성일2015.07.10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강원지역에서
‘식인 물고기’로 알려진
아마존 어류 ‘피라니아’가 발견돼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남아프리카 등지에서 서식하는
아프리카 발톱개구리가
청주의 한 습지에서 발견됐습니다.
충북지역도
외래종 동 식물에 의한 생태계 교란이
심각한 수준입니다.
[리포트]
충북도에 따르면 최근 3년 동안 민관 공동으로 도내에서 제거한 생태계 교란종은 어종 2만8천여마리, 식물 약 285t에 이릅니다.
여기에 소요된 예산만 2억7천500만원에 이른다는 게 충북도의 설명입니다.
주요 퇴치 어종은 배스를 비롯해 블루길, 붉은 귀 거북, 황소개구리 등으로 번식성이 강해 도내 모든 시·군에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단풍잎돼지풀과 가시박 등 생태계 교란 식물도 사정은 마찬가지 입니다.
문제는 이런 생태계 교란종이 서식 영역과 개체 수를 늘려가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청주시 서원구 산남동 일원에 토종 개구리를 위해 만든 습지에서 남아프리카에서 서식하는 '발톱개구리'가 발견돼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심지어 이 발톱개구리는 토종 참개구리와 짝짓기를 하는 장면까지 목격되기도 했습니다.
환경단체는 발톱개구리를 애완용으로 외국에서 들여와 기르다가 방사해 개체수가 늘어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외래종은 번식력이 강해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서식 영역을 넓혀가 국내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무너트리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토종 동·식물에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어 심각한 생태파괴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BBS 뉴스 이호상입니다.
강원지역에서
‘식인 물고기’로 알려진
아마존 어류 ‘피라니아’가 발견돼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남아프리카 등지에서 서식하는
아프리카 발톱개구리가
청주의 한 습지에서 발견됐습니다.
충북지역도
외래종 동 식물에 의한 생태계 교란이
심각한 수준입니다.
[리포트]
충북도에 따르면 최근 3년 동안 민관 공동으로 도내에서 제거한 생태계 교란종은 어종 2만8천여마리, 식물 약 285t에 이릅니다.
여기에 소요된 예산만 2억7천500만원에 이른다는 게 충북도의 설명입니다.
주요 퇴치 어종은 배스를 비롯해 블루길, 붉은 귀 거북, 황소개구리 등으로 번식성이 강해 도내 모든 시·군에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단풍잎돼지풀과 가시박 등 생태계 교란 식물도 사정은 마찬가지 입니다.
문제는 이런 생태계 교란종이 서식 영역과 개체 수를 늘려가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청주시 서원구 산남동 일원에 토종 개구리를 위해 만든 습지에서 남아프리카에서 서식하는 '발톱개구리'가 발견돼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심지어 이 발톱개구리는 토종 참개구리와 짝짓기를 하는 장면까지 목격되기도 했습니다.
환경단체는 발톱개구리를 애완용으로 외국에서 들여와 기르다가 방사해 개체수가 늘어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외래종은 번식력이 강해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서식 영역을 넓혀가 국내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무너트리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토종 동·식물에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어 심각한 생태파괴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BBS 뉴스 이호상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