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경칩’ 얼굴내민 두꺼비, “두꺼비가 줄어들고 있어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손도언 작성일2015.03.06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경칩’인 오늘
청주에서 두꺼비들이 얼굴을 내밀었습니다.
하지만 해마다 두꺼비 개체수가 줄어
‘두꺼비 서식지 환경 개선’이
무엇보다 필요해 보입니다.
보도에 손도언 기잡니다.
<리포트>
청주시 서원구 산남동 원흥이 방죽입니다.
겨울잠을 자고 깨어난 두꺼비가 봄기운을 만끽하려는 듯
느린 걸음으로 연못과 습지를 오갔습니다.
사단법인 두꺼비친구들은
지난달 21일 청주 낙가동 소류지에서
산란하기 위해 이동하는 두꺼비 한 마리를
올해 처음 발견한 이후 현도면 달계리에서 40여 마리 등
청주지역 곳곳에서
두꺼비들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오늘 얼굴을 들어낸 두꺼비들은
지난해보다 약 20일가량 빠르게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문제는 두꺼비 개체수가 계속 줄고 있다는 것입니다.
청주 낙가동 서류지의 경우,
2012년에는 약 150마리에서 2013년 100여마리,
지난해에는 60마리로 줄더니
올해는 40여 마리만 발견됐습니다.
인서트 1
박완희 사단법인 두꺼비친구들 사무처장입니다.
충북지역 12개 시민사회단체는
경칩을 전후해 '두꺼비 순찰대'를 꾸려
양서류 보호에 나서고 있지만
개체수는 해마다 줄고 있는 추셉니다.
인서트 2
박완희 사단법인 두꺼비친구들 사무처장입니다.
한편, 알에서 깨어난 새끼 두꺼비가
서식지인 구룡산으로 '역귀성'하는 시기는
오는 5월쯤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BBS 손도언입니다.
‘경칩’인 오늘
청주에서 두꺼비들이 얼굴을 내밀었습니다.
하지만 해마다 두꺼비 개체수가 줄어
‘두꺼비 서식지 환경 개선’이
무엇보다 필요해 보입니다.
보도에 손도언 기잡니다.
<리포트>
청주시 서원구 산남동 원흥이 방죽입니다.
겨울잠을 자고 깨어난 두꺼비가 봄기운을 만끽하려는 듯
느린 걸음으로 연못과 습지를 오갔습니다.
사단법인 두꺼비친구들은
지난달 21일 청주 낙가동 소류지에서
산란하기 위해 이동하는 두꺼비 한 마리를
올해 처음 발견한 이후 현도면 달계리에서 40여 마리 등
청주지역 곳곳에서
두꺼비들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오늘 얼굴을 들어낸 두꺼비들은
지난해보다 약 20일가량 빠르게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문제는 두꺼비 개체수가 계속 줄고 있다는 것입니다.
청주 낙가동 서류지의 경우,
2012년에는 약 150마리에서 2013년 100여마리,
지난해에는 60마리로 줄더니
올해는 40여 마리만 발견됐습니다.
인서트 1
박완희 사단법인 두꺼비친구들 사무처장입니다.
충북지역 12개 시민사회단체는
경칩을 전후해 '두꺼비 순찰대'를 꾸려
양서류 보호에 나서고 있지만
개체수는 해마다 줄고 있는 추셉니다.
인서트 2
박완희 사단법인 두꺼비친구들 사무처장입니다.
한편, 알에서 깨어난 새끼 두꺼비가
서식지인 구룡산으로 '역귀성'하는 시기는
오는 5월쯤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BBS 손도언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