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충북교육 블랙리스트'…"감사 결과 못 믿어" vs "소모적 논쟁 멈춰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현철 작성일2023.03.15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충북교육청 블랙리스트 의혹'이 좀처럼 수면 아래로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도교육청의 감사 결과 발표에 교육계 내부에서도 반응이 엇갈리고 있는 건데요.
'감사 결과를 믿을 수 없다'는 주장과 '더 이상 소모적인 논쟁을 멈춰야 한다'는 의견이 충돌하고 있습니다.
연현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충북단재교육연수원 블랙리스트 의혹의 원인은 '소통 부재와 자의적 해석에 따른 오해'라는 도교육청의 감사 결과.
김상열 전 원장이 보고받은 내용을 사실관계 확인 절차 없이 개인 SNS에 게시한 것도 결정적인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도교육청 정책기획과장과 연수원 교육연수부장간 주고받은 명단을 '블랙리스트'로 규정할 수 없다는 것도 재차 강조됐습니다.
소통 과정에서 부당한 압력이 있었다고 볼만한 내용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과 특정 강사의 강좌를 모두 배제하려 한 정황 또한 없었다는 겁니다.
경찰의 수사 결과 발표에 이어 도교육청의 감사 결과 공개에도, 교육계 내부에서는 어수선한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감사 결과에 저마다 엇갈린 반응을 드러내고 있는 겁니다.
충북교육연대와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오늘(15일) 성명을 통해 "도교육청은 이번 사태의 모든 탓을 단재교육연수원장에게 돌렸다"며 "이는 특정인을 향한 표적감사가 분명하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경찰의 수사 결과 발표 다음 날 도교육청이 감사 결과를 발표하는 상황에서 양 기관의 수사·조사 결과를 믿을 수 없다"며 "오히려 불신과 의혹만 높아졌다"고 꼬집었습니다.
그러면서 사태 해결을 위해 정보공개 청구와 추가 고소·고발 등 법적 대응도 예고했습니다.
반면 충북교원단체총연합회는 정치적 접근을 멈춰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충북교총은 오늘(15일) 보도자료를 내고 "경찰과 도교육청이 블랙리스트로 보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고 고발된 관계자 모두 혐의없음으로 불송치됐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어 "블랙리스트 의혹의 실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만큼 충북교육계는 정치적이고 소모적인 논쟁을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일부 단체가 도교육청에 후속 대응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우려를 금할 수 없다"며 교육연대 측을 정면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이미 결정된 사안을 존중하기는커녕 부정하고 다른 의혹을 제기하는 것으로 보여 개탄스럽다"고까지 했습니다.
의혹을 불씨를 꺼트리기 위한 경찰 수사와 교육당국의 현장 감사에도, 교육계 내부의 갈등은 좀처럼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BBS뉴스 연현철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