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충북교육감 예비후보 단일화' 더딘 움직임…후보간 미묘한 균열 감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현철 작성일2022.03.22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충북교육감 보수후보 단일화' 움직임이 더디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심의보 예비후보가 어제(21일) 단일화를 위한 논의를 거듭 요구했지만, 윤건영·김진균 예비후보가 적극적인 입장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인데요.
예비후보들은 아직은 공약 개발과 홍보에 집중할 시기라는 점을 앞세우고 있습니다.
우지윤 아나운서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심의보, 윤건영, 김진균.
올해 충북교육감 선거 출마를 선언하고 현 김병우 교육감에 맞설 '보수 성향'의 예비후보들입니다.
김 교육감의 현 정책을 막기 위해 '후보 단일화'에 뜻을 모으자던 세 후보는 예상과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소 이른 시기에 언급된 것과 달리 '후보 단일화'에 속도가 나지 않는 듯한 분위기입니다.
때문에 단일화 언급 당시 시작된 주도권 싸움으로 후보간 미묘한 균열이 감지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21일 심 예비후보는 기자회견을 통해 후보 단일화를 위한 논의에 나서자며, 신속한 의견 통합을 요구했습니다.
다른 후보들의 의견을 충분히 받아들일 자세가 돼있고, 하루 빨리 대책을 강구해 보자는 게 핵심입니다.
하지만 다른 후보들은 다소 조심스런 입장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심 후보의 기자회견 다음 날인 오늘(22일) 윤 예비후보는 2차 정책·공약 발표 기자회견에서 "당분간 단일화와 관련해 적극적으로 제기하지 않겠다"고 밝힌 겁니다.
윤 후보는 "일각에서 주도권 싸움으로 보는 시각이 있다"면서 "우선 공약 개발에 집중하겠다"고 말을 아꼈습니다.
김진균 예비후보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시기상조'라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김 후보는 학교 현장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소신있는 공약 홍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단일화 사안은 일단 뒤로 미뤄진 듯한 모양새 속 세 예비후보는 여전히 교육정책 변화에 한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최근 논란이 된 충북 성적 하락에 대해 윤 후보는 학생 진단평가를 통한 맞춤형 교육으로, 심 후보는 학력신장 특별기구 설치로, 김 후보는 자존괌 회복 교육으로 충북의 학력을 높이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우선 각자 노선으로 공약 홍보에 만전을 기하고 있는 충북교육감 예비후보들.
현 정책 비판이라는 공통점으로 후보들간 의견 통합이 급물살을 탈지, 각자의 공약으로 승부를 보게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BBS뉴스 우지윤입니다,
'충북교육감 보수후보 단일화' 움직임이 더디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심의보 예비후보가 어제(21일) 단일화를 위한 논의를 거듭 요구했지만, 윤건영·김진균 예비후보가 적극적인 입장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인데요.
예비후보들은 아직은 공약 개발과 홍보에 집중할 시기라는 점을 앞세우고 있습니다.
우지윤 아나운서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심의보, 윤건영, 김진균.
올해 충북교육감 선거 출마를 선언하고 현 김병우 교육감에 맞설 '보수 성향'의 예비후보들입니다.
김 교육감의 현 정책을 막기 위해 '후보 단일화'에 뜻을 모으자던 세 후보는 예상과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소 이른 시기에 언급된 것과 달리 '후보 단일화'에 속도가 나지 않는 듯한 분위기입니다.
때문에 단일화 언급 당시 시작된 주도권 싸움으로 후보간 미묘한 균열이 감지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21일 심 예비후보는 기자회견을 통해 후보 단일화를 위한 논의에 나서자며, 신속한 의견 통합을 요구했습니다.
다른 후보들의 의견을 충분히 받아들일 자세가 돼있고, 하루 빨리 대책을 강구해 보자는 게 핵심입니다.
하지만 다른 후보들은 다소 조심스런 입장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심 후보의 기자회견 다음 날인 오늘(22일) 윤 예비후보는 2차 정책·공약 발표 기자회견에서 "당분간 단일화와 관련해 적극적으로 제기하지 않겠다"고 밝힌 겁니다.
윤 후보는 "일각에서 주도권 싸움으로 보는 시각이 있다"면서 "우선 공약 개발에 집중하겠다"고 말을 아꼈습니다.
김진균 예비후보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시기상조'라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김 후보는 학교 현장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소신있는 공약 홍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단일화 사안은 일단 뒤로 미뤄진 듯한 모양새 속 세 예비후보는 여전히 교육정책 변화에 한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최근 논란이 된 충북 성적 하락에 대해 윤 후보는 학생 진단평가를 통한 맞춤형 교육으로, 심 후보는 학력신장 특별기구 설치로, 김 후보는 자존괌 회복 교육으로 충북의 학력을 높이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우선 각자 노선으로 공약 홍보에 만전을 기하고 있는 충북교육감 예비후보들.
현 정책 비판이라는 공통점으로 후보들간 의견 통합이 급물살을 탈지, 각자의 공약으로 승부를 보게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BBS뉴스 우지윤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