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충북, 인구위기㊥] 충북 인구절벽 현실화... 시군별 '맞춤형 정책' 시동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채리 작성일2025.01.16 댓글0건본문
- 지난해 도내 전체 인구 159만명… 해마다 감소세 이어져
- 청주·음성·진천 외 도내 시군 '위기'… 보은군 1.55% 최다
- 도시재생 사업·의료 인프라 확충 등 인구유입 정책 '총력'
충북이 심각한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충북의 인구 수는 총 159만 천177명으로 전년 대비 0.14% 감소했습니다.
지난 2020년 160만명에 달했던 인구는 2021년 159만 7천여 명에서 2023년 159만 3천여 명으로 해마다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이 같은 인구 감소는 도내 11곳의 시군 중에선 보은군이 가장 심각합니다.
보은군의 경우, 2023년 3만 1천 10명이던 인구는 지난해 1.55% 감소해 도내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영동군 1.45%, 옥천군 1.4%, 단양군 1.25% 등 청주와 음성, 진천을 제외한 나머지 8곳의 시군 모두 인구소멸 위기에 닥쳤습니다.
인구는 줄어들고, 지역사회는 늙어가고 있습니다.
지난해 충북의 인구 비중은 60대가 26만 4천 85명, 70대 이상이 21만 4천 512명으로 전체의 30%를 차지했습니다.
충북의 인구 감소는 출생보다 사망이 많아 발생하는 자연 감소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사망자는 1만 천226명으로 전년동기대비 출생자 수 6천 307명보다 4천 919명 더 많았습니다.
이러한 인구 감소는 지역 인프라 축소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구감소지역의 보육교육 환경은 학령 인구가 줄어들어 시설 축소로 접근성이 하락했고, 응급의료시설 접근성은 전국 평균 73.3%와 비교해 절반 수준인 41.9%에 그치면서 인구감소로 인한 문제점을 야기합니다.
이에 각 시군은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보은군은 총사업비 5천 142억 원을 투입해 2030년까지 연간 출생아 100명, 귀농·귀촌 인구 1천명, 생활 인구 500만 명 달성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영동군은 '인생 첫 컷 돌사진 지원사업'을 10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확대합니다.
괴산군은 권역별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농촌 정주여건 개선 등 농업 경쟁력을 높여 인구 4만 명 회복이라는 목표를 군정 최고 가치로 정했습니다.
충주시는 의료 환경 개선을 위해 건국대충북병원에 올해까지 6개 전문센터를 구축하고, 2030년까지 권역응급의료센터 설립을 추진합니다.
청주시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정책에 9천 389억원을 투입하며, 음성군은 산업단지 청년복합문화센터 조기 착공과 대규모 공동주택 공급으로 청년 인구 유입에 집중합니다.
충북도 관계자는 "인구소멸위기지역 지원특별법에 따라 지난해 인구소멸대응 대책 특위 활동 계획안을 채택했다"며 "주거, 복지, 의료, 보육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을 통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