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6일 직격인터뷰] 이현경 충북경찰청 수사 2계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성현 작성일2025.08.05 조회3회 댓글0건본문
□출연 : 이현경 충북경찰청 수사 2계장
□프로그램 : [청주BBS 충북저널 967/ 8월 6일(수) 8:30~08:54(24분)
□인터뷰 시간 : 08:40 ~ 08:52
□주파수 : 청주 FM 96.7MHz 충주FM 106.7MHz
[앵커]
직격 인터뷰 시간입니다.
최근 충북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공무원이나 지자체장을 사칭한 신종 사기 범행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가짜 공문서와 직인, 심지어 SNS 계정까지 도용하는 수법이 등장하면서 피해 규모도 커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충북경찰청 수사2계 이현경 계장을 모시고 사칭 사기의 실태와 예방 방법, 그리고 대응 방안을 짚어보겠습니다.
이 계장님 안녕하십니까.
[앵커]
먼저, 최근 청주시장을 사칭한 메신저 피싱 사건을 포함해 충북 지역에서 나타난 사칭 사기 범행의 특징과 추세는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앵커]
과거에는 '수사관 사칭 보이스피싱'이 많았는데, 최근 수법은 자영업자나 납품업체를 겨냥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이유는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앵커]
사칭 사기범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대표적인 수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예를 들어 가짜 공문서·명함 제작, SNS 해킹, 단체장 계정 도용 같은 사례 말입니다.
[앵커]
최근에는 메신저 해킹뿐 아니라 AI 음성 합성이나 영상 합성 기술까지 동원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큽니다. 이런 디지털 기술 기반 사칭 범죄의 확산 가능성과 경찰의 대응 방안은 무엇인가요?
[앵커]
실제 피해 규모가 컸던 충북 사례를 소개해 주실 수 있을까요? 현장에서 보신 가장 교묘한 수법은 무엇이었습니까?
[앵커]
일반 시민이나 자영업자가 사칭 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꼭 기억해야 할 1차 방어 요령이 있다면 어떤 것입니까?
[앵커]
만약 지인을 사칭한 메신저를 통해 금전을 요구받았을 때 시민들은 어떤 절차로 즉시 대처해야 할까요?
[앵커]
사칭 사기를 당한 뒤 뒤늦게 알게 된 경우, 신고와 구제 절차는 어떻게 진행됩니까? 혹시 피해 회복 방법도 안내해 주실 수 있을까요?
[앵커]
현행 제도만으로는 막기 어려운 한계도 있을 것 같습니다. 경찰 입장에서 필요하다고 보는 제도 개선 방향이 있다면 말씀해 주시죠.
[앵커]
마지막으로, 충북도민들에게 사칭 사기 예방을 위해 꼭 전하고 싶은 당부의 말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